정부가 새롭게 바뀐다는 것은 단순히, 정치권력의 변화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모든 부분에서 새로운 변화가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것이 좋은 변화일지, 아니면 되돌리고 싶은 나쁜 변화일지는 모르지만 말이다.
그 중에서도 흔히 말하는 공공부문, 즉 정부 조직과 공공 기관의 경우에는 그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또 그 폭도 크기 마련이다. 아무래도 정부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인 통제를 받다 보니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공기업 취업과 관련해서 근래 내가 취업준비생들로부터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바로 “윤석열 정부에서 공기업 채용이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질문이었다.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질문일 것이다.
사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답변을 하기 곤혹스럽기만 했다. 자칭 공기업 취업 컨설턴트로서 취업 준비생들에게 더 밝은 미래를 이야기하고, 그 꿈을 더욱 키워주고 힘껏 응원해 줘야 하는 입장에서 윤석열 정부의 공기업 취업전망을 결코 긍정적으로 말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내가 운영하는 유투브 채널을 통해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기 전부터 향후 공기업 채용 전망이 좋지 않다는 전망을 언급하곤 했다.
실제, 윤석열 정부에서 공기업 채용이 줄어 들 것이라는 전망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것이었다. 역대 정부들을 살펴보면, 보수정권이 들어서면 항상 공기업에 대해 구조조정의 칼을 빼들고 조직과 사업영역을 축소시켜 왔으며, 반대로 민주정권이 들어서면 공기업의 조직과 사업영역을 확대해 왔기 때문이었다.
공기업의 조직과 사업을 축소 또는 확대는 복지, 안전, 에너지, 교통 등 국가와 사회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공공부문에게 맡길 것인지, 아니면 민간에 맡길 것인지에 대한 정책판단에 따라 결정된다.
그래서, 큰 정부와 복지국가를 지향하던 문재인 정부에서는 자연스럽게 공기업의 조직이 커지고 채용 역시 늘어나게 되었다. 반면, 작은 국가와 성장을 외치는 윤석열 정부에서는 공기업 조직을 줄이고 채용 역시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래는 최근 6년간 공공기관의 신규채용 인원 현황을 정리한 자료이다.
(자료출처: 알리오, 일반정규직 채용에 무기계약직 채용은 포함되지 않음.)
이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부터 조금씩 공기업 채용이 증가해 2019년에 41,000여명에 도달한 후, 조금씩 감소해 작년 2022년에는 25,000여명대로 감소해 왔다.
며칠 전, 개최된 ‘2023 공공기관 채용박람회’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어려운 여건에 있는 고용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2023년 공공기관에서 22,000명을 신규 채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기관의 22,000명 신규 채용은 2017년 이래 가장 낮은 채용 규모이지만, 2022년 윤석열 정부의 공공기관 조직효율화를 명목으로 실시한 12,442명의 정원 감축 규모를 감안한다면 결코 적지 않은 규모가 될 것이다.
그래서 사실 작년 말에 나는, 조심스럽게 2023년 신규 채용규모가 15,000명선이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이번 기재부의 발표는 예상을 뛰어 넘는 신규채용 규모이다.
이러한 규모는 최근 급격히 나빠지고 있는 국내경제 상황에 때문에 민간부문의 신규 채용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도산, 구조조정, 조기퇴직 등에 따른 경력자들이 대거 신규 채용시장을 잠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굉장히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들에게 “일이 없는데 채용하면 세금낭비.”라고 당당히 말하는 기재부 장관의 인식을 보면서 정말 계획대로 될까? 라는 걱정이 앞설 수 밖에 없다.
그러한 인식은 자연스럽게 공기업 경영자들과 채용담당자들을 위축시켜, 신규 채용을 늘려 더 많은
일을 하기 보다는 신규 채용을 줄이고 더 많은 사업들을 정리하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정부의 멋진 계획이 그저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 많은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실천되길 바란다.